- 1
대표 생각 Intro
- 2
인간의 의식은 잠실 롯데타워다.
- 3
돈과 섹스(번식)에 헌신하는 삶
- 4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지 마라. 타인의 시선은 중요하지 않다.
- 5
시선이 운명을 결정한다 - 로젠탈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 6
잠재의식을 바라보는 관점이 잠재의식의 파워를 결정한다.
- 7
10배의 법칙 vs 행동과학 - 크게 생각해야 할까? 작게 실천해야 할까?
- 8
잠재의식은 전지전능하다.
- 9
시련과 역경 and 최고의 미래
- 10
신화적 서사와 연예인 마약에 대하여
- 11
스틸밈 1:1 코칭 철학 - 승부에 대한 책임
- 12
독서력 resume, 상위 0.077%
- 13
미래의 나로 현재를 산다는 것 - 『퓨처 셀프』를 읽고
- 14
점진주의를 배격하라
- 15
중용 23장, 성공학(잠재의식) version
- 16
목표 달성의 가장 큰 적 - 드래곤을 넘어서라
- 17
보물지도, 비전보드의 함정 - 성공한 뒤 무너지는 사람들
- 18
패러다임의 중요성 - 인생은 중도·중용의 적중이다.
- 19
『일론 머스크』를 읽고
- 20
2024년, 축적하는 한 해로
- 21
감사일기 1,111일 차가 말하는 감사의 본질
- 22
감사하면 인생이 망한다?
- 23
변수와 상수 - 변하는 마음과 꺾이지 않는 마음
- 24
성장하지 마라, 도약하라.
- 25
도약의 한계, 오도일이관지
- 26
진정으로 배운다는 것, 사이후이
- 27
비판의 칼날이 돌고 돌아, 나의 목을 친다.
- 28
『10배의 법칙』 7독 리뷰
- 29
과학이 꼭 정답일까? 극한의 변화란,
- 30
나만의 길을 걸어갈 용기
- 31
성공학, 자기계발서, 시크릿, 끌어당김의 법칙의 한계
- 32
잠재의식은 도대체 어디에 있나요?
- 33
월 1000만 원 달성에 가장 중요한 기준
- 34
당신의 인생이 어려운 진짜 이유
- 35
목표 1만 번 쓰고도, 변화가 없는 사람들 특징
- 36
읽는 중세계 최고 부자가 말했다. "아들아 부디.."
- 37
목표 달성에 가장 중요한 멘탈리티
- 38
목표가 너무 커서,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 39
멘토의 중요성, 합법적 지름길
- 40
태도가 운을 부른다. 운을 포착하는 뇌를 만들어라.
- 41
생각과 말로는 창조하지만,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세계 최고 부자가 말했다. “아들아 부디..”

총자산 450조 원. 세계 최고 부자이자 석유왕이라 불리었던 록펠러. 그가 아들에게 편지를 남긴다. 그는 무엇을 유산으로 남기고자 했는가. 아들에게 남기는 편지인 만큼, 포장되지 않은 진정한 성공학의 정수를 접할 수 있다.
다음은 『록펠러의 편지』에서 나오는 내용이다.
나는 목표론자다. 물론 다른 사람처럼 목표의 힘을 과장하지는 않지만, 그 힘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목표란 잠재력을 끌어내는 원동력이고, 만물을 지배하는 힘이며,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성공을 이루는 데 필요한 수단을 찾도록 영감을 준다. 명확하고 단호한 목표는 우리가 정한 방향에 집중하고 최선을 다하도록 이끈다.
『록펠러의 편지』, 존 데이비슨 록펠러, 와이즈맵
목표의 중요성. 507명의 억만장자를 20년간 연구한 나폴레온 힐도 같은 주장을 했다. 성공의 법칙, 제1조건은 명확한 중점 목표다. 운명을 개척하고 최고의 인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가 요구된다.
뒤이어 록펠러는 말한다.
자기 목표를 제대로 세우지 못하면 다른 사람 혹은 무의식에 따라 목표를 정하게 된다. 그러다 결국 상황을 통제하는 힘을 잃을 수도 있다. 주의를 흩뜨리거나 방해하는 사람 혹은 사건을 만날 수도 있다.
『록펠러의 편지』, 존 데이비슨 록펠러, 와이즈맵
즉, 목표가 명확하지 않으면 결국 외부 현실을 통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전 스틸밈 칼럼에서 나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멘탈이 강하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1. 통제할 수 있는 것과 통제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하는 능력
2. 통제할 수 있는 것에만 초점을 유지하는 힘
이 2가지 조건이 멘탈이 강하기 위한 핵심 요소다. 그리고 이 2가지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대전제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명확한 목표를 갖는 것이다.
명확한 목표를 갖는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바로 명확한 기준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준을 토대로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명확한 목표가 없다면, 외부 기준에 취약해진다. 타인의 시선, 사회의 기준에 자유로울 수 없게 되고, 결국 독립적 의사결정이 무너지게 된다.
사람들이 목표를 얼마나 등한시할까?

다음은 일본의 경영 컨설턴트 간다 마사노리의 『비상식적 성공 법칙』에서 나오는 내용이다.
“그럼 그 목표를 종이에 적고 있나요?”
그렇다고 답하는 사람은 아마 20명 중 1명 정도일 것이다. 그러면 또다시 물어보라.
“종이에 적어놓은 목표를 아침저녁으로 읽어보나요?”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 방법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에서조차 많아야 1퍼센트에 불과하다.
이 단순한 방법을 실천하기만 하면 상위 1퍼센트 안에 들 수 있다는 이야기다.
『비상식적 성공 법칙』, 간다 마사노리, 생각지도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에서조차 많아야 1퍼센트다. 일반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다. 명확한 중점 목표. 단 하루도 빼먹지 않고, 목표를 각인하는 것. 단순히 이 행동 하나만으로도 압도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쯤 이런 생각이 들 것이다. 왜 목표를 매일 각인하는 사람은 이토록 적은 것일까?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관되게 목표를 지향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명확하게 목표를 세우는 법을 배우고
100% 확정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고 싶다면
당신의 잠재력을 1000% 극대화하는 법
[원데이 특강 신청하기]
참고문헌
『록펠러의 편지』, 존 데이비슨 록펠러, 와이즈맵
『나폴레온 힐 성공의 법칙』, 나폴레온 힐, 중앙경제평론사
『비상식적 성공 법칙』, 간다 마사노리, 생각지도